본문 바로가기
취미 일상

요소수 대란 안넣으면 안되나요

by 알아두면 쓸데있는 잡다한 정보 2021. 11. 14.
반응형

최근 라디오나 뉴스마다 요소수 대란에 대해 연일 언급하고 있습니다. 사실 디젤 차량을 운행하고 있지 않으면, 요소수라는 것이 매우 생소한 개념일텐데요, 오늘은 요소수가 무엇인지 또 요소수 대란의 원인과 전망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요소수 대란 안넣으면 안되나요

요소수

요소수는 디젤(경유) 차량의 배기가스 중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는 나쁜 물질을 줄여주는 액체입니다. 따라서 요즘 디젤차량의 경우 요소수가 안들어간 상태에서는 아예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세팅이 되어 있습니다. 다만 실제로 요소수가 없다고 해서 기술적으로 차량이 굴러가는데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주행을 하던 중에 요소수가 떨어지는 경우 경고등은 들어오지만 바로 시동이 꺼지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렇게 달리다가 주행을 종료하고도 요소수를 보충하지 않으면 다시 시동이 걸리지는 않는 것입니다. 요소수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요소수는 요소 + 물(수) 형태의 혼합물인데, 사실 요소수를 만드는 기술이 대단히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대한민국의 기술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으며 생산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경제성에 의해 그간 중국 수입에 의존했을 뿐입니다. 요소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요소를 먼저 얻어야 하는데, 요소는 이산화탄소(CO2)와 암모니아(NH3)의 화합물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숨만 쉬어도 나오는 가스이고, 암모니아의 경우 질소(N2)와 수소(H2)의 화합물인데, 질소의 경우 공기중의 79%가 질소이므로 얻기 쉽습니다. 따라서 요소를 얻는 데에는 수소를 생산하는 비용이 중요한데, 주로 저렴한 중국의 석탄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기에 이번 요소수 대란이 일어나게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요소수발 물류대란

그럼 중국에서 수입이 갑자기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디젤(경유) 차량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휘발류 차량에 비해 디젤 차량의 경우 회전력(토크)이 훨씬 높아 힘이 필요한 덩치가 큰 차들은 주로 디젤 차량입니다. 보통의 승합차 이상 체급이면 디젤차량이 대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외에 농업용, 산업용 중장비들 역시 대부분이 디젤을 사용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요소는 경제성을 이유로 2010년 초반부터 중국 석탄으로 부터 생산했는데, 2021년 최근 중국-호주 무역전쟁과 더불어 중국 내 석탄이 부족해지자 중국 정부가 석탄과 더불어 요소 등 석탄부산물의 생산 및 수출을 제재하기 시작한 것이 이번 대란의 시작입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수년 전~최근 디젤게이트가 터지기 전까지 디젤 차량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승합차 이상의 덩치가 큰 차량 뿐만아니라 한때는 클린 디젤을 외치며 디젤 승용차도 큰 인기를 얻어 엄청나게 보급되었었습니다. 당장 지금도 도로에 나가보면 2010년대 중반에 보급된 독3사(아우디, BMW, 벤츠) 디젤 차량들이 엄청나게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유럽의 경우 2015년 디젤 게이트 이후 급격히 디젤 승용차를 줄여나갔으나 우리나라는 그보다 조금 더 늦은 2018년에 되어서야 클린 디젤 정책을 폐기하면서 그만큼 더 많은 승용 디젤차가 보급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나라는 해외 다른 국가들과 달리 산업 뿐만아니라 개인들에게도 요소수 대란이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습니다. 

 

앞으로의 전망

개인적으로는 이번 요소수 대란은 일시적 공급 부족으로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자연히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일본과의 무역 문제가 발생했을 때 우리나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이 흔들릴 수 있다고 할만큼 중요했던 불화수소(HF)도 결국 국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요소에 비하면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불화수소도 당시의 걱정과는 달리 잘 마무리가 된 만큼 요소수 또한 방향을 잘 설정하여 해결방안을 마련한다면 이번 대란은 생각보다 금방 가라앉을 것입니다. 일부 에서는 요소가 국가 전략물자라고도 언급하고 있으나 요소를 생산하는 것이 기술적 난이도가 엄청나다거나, 시장의 규모가 대단히 커 독과점상태에서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물질도 아니므로, 수개월 내에 다른 수입선을 찾거나 자체 생산을 한다며녀 쉽게 해결될 문제입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당장의 요소수 대란에 큰 혼란을 느껴 당황하실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